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우리나라의 산림지역 곳곳엔 돼지열병을 막겠다며 설치해놓은 울타리가 있습니다. <br> <br> 길이를 모두 더 하면 2800km,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의 7배나 됩니다. <br> <br> 곳곳이 뚫어지고 쓰러져서 관리에 애를 먹었는데요, 요즘은 좀 개선이 됐을까요. <br> <br>이솔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도로 경계를 따라 설치된 울타리, 이곳 울타리도 한가운데가 뚫려 있습니다. <br> <br>조금만 힘을 줘도 사람이 빠져나갈 정도로 넓게 벌어집니다.<br> <br>2년 전 돼지열병 확산 방지 울타리가 훼손돼 있던 경기 가평의 마을을 다시 찾아가봤습니다. <br> <br>여전히 울타리가 설치되다 만 듯 뻥 뚫려있고 힘을 주지 않아도 쉽게 구부러집니다. <br> <br>[김유수 / 마을 주민] <br>"돼지가 산에서 내려오잖아요. 그럼 여기도 산이고 저기도 산인데 이거 하나 마나 아니야? 이건 누가 잘못한 거야." <br><br>이번엔 강원도 화천으로 가봤습니다. <br><br>산을 따라 설치된 울타리입니다. 낙엽과 토사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쓰러진 건데요. <br> <br>옆으로 이어진 울타리도 위태롭게 기울어져 있습니다.<br> <br>관할 지자체는 훼손 여부도 모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화천군 관계자] <br>"(아직 수리하지 않은 훼손된 곳도 있나요?) <br>제가 파악하고 있는 건 아직 없습니다." <br><br>도로 옆 산책로 양쪽이 울타리에 둘러싸인 곳도 있습니다.<br> <br>이중으로 설치돼 있는 겁니다.<br><br>[울타리 설치업자] <br>"우리들 생각에는 치지 말아야 될 부분도 엄청 많이 쳤었어요. 거기다 칠 필요가 없는데 막 쳐놨단 말이야." <br><br>환경부는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걸린 멧돼지가 북에서 남으로 내려오는 걸 막기 위해, <br> <br>경기와 강원, 경북 지역에 걸쳐 서울 부산 거리의 7배에 달하는 광역울타리를 설치했습니다.<br><br>설치에만 1600억 원, 유지 보수에는 해마다 40억 원이 들지만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불편함을 호소하며 울타리에 달린 출입문을 아예 열어 두고 지냅니다. <br> <br>[마을 주민] <br>"365일 그냥 열어놓고 있죠. 한 가구 같으면 자기네가 닫고 대문처럼 열고 들어갔다가 하지만 저기 몇 가구가 있는데 어느 사람이 경비가 있어서 열어줬다가 닫았다가 해." <br> <br>밭에는 며칠 전 멧돼지가 다녀간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[농민] <br>"문 열리고 자꾸 그러면서 들어온 거 같아. 아니 사람들이 자꾸 드나드니까. 이리로 해서 들어왔더라고." <br> <br>국립공원 안에 설치된 출입문도 마찬가집니다. <br><br>설악산 국립공원 안입니다.<br> <br>경고음과 안내표지판이 무색하게 출입문이 활짝 열려있습니다.<br> <br>[환경부 관계자] <br>"출입문은 닫아야 돼요. 거기 포스터도 붙여놓고 캠페인도 하거든요. 혹시 열려 있는 곳 있으면 닫고 다니고 이런 점검을 상시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문이 닫혀 있어도 1.5m 높이의 울타리는 먹이를 구하려는 맷돼지가 쉽게 뛰어넘습니다. <br> <br>[오연수 / 강원대 수의학과 교수] <br>"멧돼지가 학습의 동물이고 울타리가 물리적으로 남하를 막아주었던 때는 이제 시간이 지나가지 않았나. 만약에 보수가 필요한 곳들이 생기면 구간을 정해서 서서히 철거해 가는 방향으로…" <br> <br>효과는 적고, 불편은 많은 광역 울타리. <br> <br>돼지열병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좁고 두텁게 방어선을 구축하는 게 더 낫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이솔입니다.<br> <br>PD : 홍주형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김예솔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